기본 색상 견본
6가지 색상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아래 견본 색상 팔레트를 클릭하시면 대표 색상이 변경됩니다.

색상관련 CSS를 별도로 관리하여 텍스트에디터 프로그램으로 전체적인 색감을 쉽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검도 자료실

검도란 무엇인가?

● 검도(劍道)의 유래(由來)

 

검(劍)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한다. 문명의 발달에 따라 검은 석검(石劍)에서 동검(銅劍), 철검(鐵劍)으로 진화하였다. 특히 조선 정조 14년(1790년)에 간행된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에 수록된 본국검법(本國劍法)은 신라 화랑인 황창랑(黃倡郞)으로부터 기원된 세계 최고의 검법(劍法)이다.

검도(劍道)란 용어는 중국(中國) 한서예문지(漢書藝文志)에 처음 나타나며, 우리나라에서는 1896년 치안(治安)의 필요성 때문에 경찰 교습 과목으로 실시된 것이 현대 검도의 효시이다.

 

 

 

● 검도의 정의

 

검도는 체육경기의 한 종목이며 그 명칭이다. 칼의 역학적 원리를 응용하여 겨루기를 행하며, 정해진 경기·심판규칙에 의해 승패를 가르는 격투기적 개인경기이다.

교예(敎藝)와 경기의 구분에 따라 칼(刀·劍·木刀·竹刀)은 구별하여 사용한다.

 

 

 

● 검도의 목적

 

 검도의 목적은

 

① 예의를 바르게 한다. 예의는 인간이 지켜야 할 가장 근본적이고 규범이 되는 상대적 행위이다. 검도에서 예의를 잃으면 오직 칼을 사용하는 투쟁만이 강조될 수 있으니 이를 경계해야 한다.

② 심신을 건강하게 한다.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하려면 수련을 통하여 힘과 기량을 기르며, 어려움을 참고 이를 이겨내는 것을 보람과 즐거움으로 삼아야 한다.

③ 신의를 지킨다. 칼은 올바른 일을 위하여 쓰는 것이니, 이것이 바로 활인검(活人劍)이다. 부당한 것을 없애고 믿음으로 사귀며 헌신적으로 사회에 봉사하는 인간이 되도록 스스로 노력하고 이를 실천해야 한다.

 

 

 

● 검도의 특성

 

① 정신적 전통문화의 계승이다. 한국검도는 선도(仙道)에 따른 상무정신(尙武精神)과 풍월도(風月道)에 입각한 세속오계 등 고유의 전신세계에서 비롯한 충·효·예·도·덕의 전통사상을 포함한다.

② 심신의 조화이다. 기검체일치(氣劍體一致), 심기력일치(心氣力一致)의 수련과정에서 고도의 집중력과 인내심, 과단성, 침착성 등 강인한 정신력과 함께 전신의 고른 발달과 특히 심폐기능의 강화로 지구력, 순발력, 민첩성 배양에 뛰어나다.

따라서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건전한 정서배양과 예절교육에 큰 도움을 준다.

 

 

 

● 검도 용구 및 경기방법

 

검도 용구에는 도복(道服), 호구(護具), 죽도(竹刀), 목검(木劍) 등이 있으며, 도복은 흰색 또는 감색, 상의와 하의로 구분된다. 호구는 머리와 얼굴을 보호하는 호면(護面), 손목을 보호하는 호완(護腕), 가슴과 몸통을 보호하는 갑(甲), 허리 아래를 두르는 갑상(甲裳)으로 구분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죽도는 나이와 성별에 따라 그 길이와 무게가 규정되어있으며(대학, 일반의 경우 길이 120cm, 무게 500g 이상), 경기장 규격은 9∼11m 길이의 정사각형이다.

검도경기는 단체전(5인조, 7인조)과 개인전으로 구분된다. 승부는 죽도로 상대의 유효격자부위(머리, 손목, 허리, 목)를 정확하게 격자(擊刺)하면 득점으로 인정되며, 제한시간(5분원칙) 내에 두판을 선취한 자가 승리한다.

 

 

 

● 검도의 단(段)

 

검도에 입문하여 3개월이면 기본을 습득하고 호구를 착용할 수 있다. 검도 단은 초단(初段)에서 9단까지 단위가 있으며, 하루 평균 1시간씩 1년 정도를 꾸준히 수련하면 초단에 입단할 수 있다. 현재 국내 유단자 수는 약 10만명에 이르렀고, 여성 유단자 수도 3,000명에 육박하고 있다.

 

 

 

● 세계속의 검도

 

현재 검도는 아시아·미주·유럽 등 세계 40여개국에 보급되어 있으며 제1회 세계검도선수권대회가 1970년 일본에서 개최된 이래 매 3년마다 아시아·미주·유럽 순으로 돌아가면서 개최된다. 세계적으로 국제검도연맹(I.K.F. : International Kendo Federation)이 조직되어 있어 세계검도선수권대회 개최 및 주관, 학술연구 및 세미나 개최, 검도 보급, 정보 교류 등 주요 사업을 계획하고 관장한다.

우리 나라는 세계검도선수권대회에 제1회 대회부터 참가하여 88년(제7회 한국), 91년(제8회 캐나다), 94년(제9회 프랑스), 97년(제10회 일본) 대회에서 4연속 단체전 준우승을 차지하는 등 단체전·개인전에서 꾸준히 입상하여 검도 강국으로 성장하여 왔다.

또 지난 2000년 3월에 미국 산타클라라에서 제11회 세계검도선수권대회에서 우리 나라는 개인전에서 홍성수(부천시청) 선수가 개인전 3위에, 그리고 단체전에서는 결승에서 일본에게 아깝게 연전패해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 사회체육으로서의 검도

 

오늘날 여가 시간의 증가, 삶의 질적인 향상, 그리고 건강에 대한 새로운 인식으로 인해 스포츠를 스트레스 해소, 정신단련 등 개인적인 만족을 얻기 위한 수단 등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최근 생활체육으로 각광을 받게된 검도도 이런 측면에서 생활체육으로 큰 각광을 받게 되었다. 검도가 원래는 격렬한 운동이지만 보호장비가 확실하여 부상의 위험이 적고 각자의 힘에 맞게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어린아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즐길 수 있다는 점이 생활체육인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약 60만의 검도 인구가 각 도장 및 사회센타, 동우회 모임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본회에 등록된 단체팀만도 400여개 팀이 넘는다. 또한 전국적으로 약 400여개의 사설도장에서 검도를 가르치고 있다. 각 도장에는 검도 입문자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어 한국 검도의 앞날을 밝게하고 있다.

 

 

 

● 검도의 이념

 

검도는 칼을 사용해온 유구한 투쟁의 역사 속에서 인류가 터득한 순치(馴致)된 경험들을 무덕(武德)으로 승화시키려고 노력하는 선지향적(善指向的) 의지이며, 교예ㆍ경기적(較藝ㆍ競技的) 수단을 동반한 극기복례(克己復禮)의 한 도(道) 이다.

 

 

 

● 검도의 역사

 

신라에서 크게 일어난 검술은 고려 시대까지 영향을 미처발전해 내려오다가 조선조에 이르러 숭문천무 사상이 팽배해 지면서 쇠퇴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반면, 우리나라로부터 검술 문화를 받아들인 일본은 그 동안 이를 계승, 발전시켜 오히려 검의 문화를 꽃 피우게 되었다.

조선조 중기까지 천대를 받아오던 검술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그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었다. 정조 때 편찬한 『무예도보통지』의 24반 무예 중 본국검이 포함되어 군사훈련 과목으로 채택되었음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그 뒤 고종 때인 1896년 경무청에서 치안의 필요성에 의해 경찰 교육의 한 과목으로 격검(擊劍=검술)이 채택되었고, 1904년 육군연성학교에서도 교과목에 격검을 포함시켰다.

1908년에는 한국과 일본 간 최초로 경찰관 격검대회가 열렸다. 한일 간에 검술이 교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같은해 9월, 무도기계체육부(武徒機械體育部)라는 단체가 생겨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최초의 사회체육을 시도하였는데, 여기에도 격검이 한 종목으로 들어 있었다.

이때는 이미 격검의 장비 및 연무 방식이 현대 검도와유사하게 개발되어 있었다.

1910년경 격검이라는 용어는 '검도(劍道)'라는 새로운 용어로 바뀌었다. 전투용에서 무도(武道)성격이 강한 스포츠로 변해가기 시작한 것이다. 이때부터 검도는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졌다.

1906년에는 사립 오성학교 등에서 검도를 가르쳤고, 1920년 조선체육회가 발족된후 1921년에는 우리나라 최초로 사설검도관이 생겨났으니, 강낙원 선생이 창립한 조선무도관이 바로 그것이다.

1927년에는 중학교 교과목으로 정식 채택되어 지도함으로써 검도는 한층 활기를 띠게 되었고, 1935년 제 16회 전조선체육대회(현재의 전국체육대회 전신)부터 역시 검도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일제 강압에 의해 1938년 조선체육회는 해산되었다.

 

[발췌 : 대한검도회 홈페이지 http://www.kumdo.org]